FN EXECUTIVE COLUMNS

FN EXECUTIVE COLUMNS

이직요건: ‘전문성+좋은 평판’

  • 글쓴이
    최종욱
  • 작성일
    2014-08-07
  • 내용

    평생 직장 개념이 사라진 시대, 나은 조건으로 떠나는 것은 자신의 성장을 위한 다른 선택으로 받아들여진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직장인 1,000 여명을 상대로 설문조사한 결과, 50.6%가 이직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그렇다고 언제나, 어디로나 떠나는 게 능사가 아니다. 모든 일에는 전략이 필요하다. ■ 떠나야 할 때, 머물러야 할 때, 이직을 감행 할 첫째 조건은 ‘현재 재직중인 회사’가 싫을 때다. 아무리 노력을 하더라도 기업 문화나 직속 상사와의 관계 등에서 해결책이 보이지 않는다면 차리리 떠나는 게 좋다. 회사도 사람과 사람이 만나 함께 협력하는 공동체다. 일하는 사람 때문에 심한 스트레스를 받는다면 정신적으로도 힘들지만, 업무 능률도 떨어진다. 회사의 보상이 불공정할 때도 이직을 고려해볼 만하다. 예컨대 연봉이 6,000만원이면, 높은 수준으로 보이지만, 기업 내에서 하위 수준이라면 심리적으로 박탈감을 느끼기 마련이다. 자신의 가치를 인정하고 그에 따른 보상을 해주는 조직으로 옮기는 것이 업무성과를 끌어올릴 수 있는 길이다. 반대로, 승진이나 경력을 쌓을 기회가 기대될 경우엔 당장 눈앞에 보이는 조건을 따라 이직하기보다는 장기적인 안목으로 기다리는 게 현명하다. 직무 교육을 지원받거나 중요 프로젝트에 참여한다면 그 과정을 끝내는 게 좋다. 이런 기술과 경험이 다음 이력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 잦은 이직은 절대적으로 마이너스 요인이다. 취업포털 ‘인크루트’가 인사담당자 429명을 대상으로 경력사원을 채용할 때 입사지원서에서 주의깊게 보는 사항을 조사했더니, 49.2%가 이직 횟수 및 근속기간을 꼽았다. 옛 직장에서의 성과 내용 (35.9%)보다도 높은 수치다. 회사 사정으로 부도가 났거나 자금 사정 악화로 감봉이 된 상황을 일부러 숨길 필요는 없다. 근무한 회사에서 무엇을 얻었고, 새 직장에 입사해서 그것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진솔하게 잘 정리하면, "약"이되기도 한다. 많은 회사들은 평균 3회 이내의 이직자를 선호한다. 아울러 이번 직장만큼은 결코 쉽게 옮기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밝힐 필요가 있다. 탐나는 인재라고 해도 언젠가 떠날 사람이라는 인상을 주면 기업은 채용하지 않는다. ■ 평판 관리에 신경써야 : 업무 전문성은 경력직 취업의 기본사항이다. 경력기술서에 과거 수행한 프로젝트를 상술하거나 사업제안서, 기획안 등 포트폴리오를 준비해 자신의 능력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게 도움이 된다. 요즘에는 인성이나 성실도와 같은 주관적인 요소들도 평가항목에 넣고 있다. 옛 직장 동료나 상사에게 지원자의 대인관계, 근무태도, 이직 사유, 조직 적응력 등을 묻는 ‘평판 조회’가 대표적이다. 특히 평판은 경쟁이 치열할 때 최종 합격자를 가리는 최종 감안요소가 된다. 인적 네트워크와 인맥도 평가받는다. 다른 기업과 협력해 사업을 추진하기 때문에 어떤 사람과 인맥을 맺고 있는지가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인맥을 한눈에 보여줄 수 있도록 문서화해두면 편리하고, 추천서나 인물평을 곁들이면 신뢰감을 얻을 수 있다. 경력직은 공채라고 해도 채용 절차나 평가 기준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 예컨대 삼성과 CJ는 지원자 평판을, LG는 조직과의 화합을 중시한다고 알려져 있다. 지원할 기업을 정하면, 그 기업 문화를 보고서로 낼 수 있을 만큼 연구해 다른 지원자와의 차별성을 보여야 한다.

Wait...